인사이트

INSIGHT

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의 Insight는 지식재산의 전문성과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를 잇는 지식 공유 플랫폼입니다.
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가 축적해 온 풍부한 실무 경험과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특허, 상표, 기술사업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해 드립니다.
앞으로도 한층 더 폭넓은 인사이트를 지속적으로 나누고, 고객 여러분의 비즈니스 성장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Insight by MJ Patent Law Firm is a knowledge-sharing platform that bridges IP expertise with rapidly evolving market trends.
Our extensive professional experience and deep understanding of current industry developments enable us to provide in-depth content across various areas such as patents, trademark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e remain committed to delivering broader and deeper insights that create real value for your business growth.

출시 전에 꼭 확인! 화장품 특허 출원의 핵심 체크리스트 5가지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4-23 11:31:34 조회수 22

실무형 전략 가이드 for 기능성 화장품 개발사

 

화장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기술 경쟁도 그만큼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사만의 성분, 효능, 제형에 기반한 기술력 중심 브랜드가 늘어나면서, 특허 전략이 브랜드의 시장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단순히 특허를 출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권리화할 수 있는 기술인지, 경쟁사의 회피가 어려운지,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미리 확인하는 것입니다. 화장품 특허도 바이오·제약 특허와 마찬가지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1️⃣ 선행기술조사 (Prior Art Search) – 이 성분, 정말 특허 낼 수 있을까?

화장품 산업의 특성상 대부분의 성분과 조합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 신규성 확보가 주요 과제입니다. 충분한 사전 검토 없이 출원할 경우 거절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철저한 선행기술조사가 필수적입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선행기술조사(Prior Art Search)'입니다. 개발한 조성물, 효능, 기전이 기존 특허들과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화장품 성분은 대부분 이미 알려진 것들이기 때문에, 단순 조합이 아닌 독창적인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무 포인트

  - 주요 특허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 특허 검색 (KIPRIS, USPTO, EPO 등)

  - 유사 조성물이 존재할 경우, 비율 최적화, 제형 개선 등으로 차별화

  - 공지된 성분이라면, 용도특허나 시너지 효과 중심 전략 검토

  - 논문, 학회자료 등 비특허 문헌도 조사 필요

[사례]

A 화장품 기업은 천연 항산화 성분 조합의 특허 출원을 계획했으나, 유사한 조합이 이미 등록되어 있었습니다. 특정 비율에서의 시너지 효과와 피부 침투력 개선 데이터를 추가하여 차별화된 청구항을 설계해 특허 등록에 성공했습니다.

2️⃣ 인체적용시험 결과는 '기능성 용도특허'의 핵심 자료입니다

기능성 화장품 심사를 위한 인체적용시험 데이터용도특허의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 알려진 성분이라도 새로운 효능을 입증하면 용도특허로 권리화할 수 있습니다. 화장품 특허에서 용도특허는 성분 자체보다 그 성분이 특정 피부 문제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관한 것으로, 차별화된 데이터가 중요합니다.

 

✔ 실무 포인트

   - 시험 설계 단계부터 효능 관련 데이터 확보

   - 통계적 유의성과 메커니즘 설명 포함

   - 다양한 효능이 확인된 경우, 별도의 용도특허로 출원 검토

   - 시험관 (in vitro) 실험과 인체 실험 데이터 모두 활용

[사례]

B 화장품 기업은 식물 추출물의 인체적용시험에서 멜라닌 억제와 수분 유지 효과를 확인하고, 미백 기능과 보습 기능 용도특허를 각각 출원하여 독점적 마케팅 포인트를 확보했습니다.

3️⃣ OEM/ODM 방식에서 특허권 귀속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OEM/ODM 협력이 일반적이며, 이 과정에서 특허권의 귀속 문제를 미리 정리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랜드사와 제조사 간 특허 기여도와 권리 배분이 명확하지 않으면 추후 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습니다.

특허법상 '발명자'와 '특허권자'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누가 특허권을 최종적으로 가질 것인지를 계약으로 정해두는 것이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됩니다. 이는 향후 제품 확장과 사업 발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실무 포인트

   - 개발 초기부터 특허권 귀속 계약 조항 상호 합의

   - 공동 개발 시 실시권 또는 공동출원 계약 검토

   - 향후 제품 확장 시의 특허 활용 권한 협의

   -  제3자 라이센싱 조건 명시

[사례]

C 브랜드와 제조사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특허 계약을 명확히 하지 않았습니다. 제품 출시 후 특허 출원 과정에서 권리 귀속 문제가 불명확해져 제품 리뉴얼 시 양측 간 의견 차이가 발생했고, 결국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재출원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4️⃣ '특허출원중' 문구, 법적 기준을 지켜야 합니다

'특허출원중' 또는 '특허받은' 문구는 소비자에게 기술력을 어필하는 마케팅 포인트이지만, 법적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잘못된 특허 표시는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허 관련 마케팅은 제품의 기술적 우수성을 알리는 도구이지만, 그만큼 법적 책임도 따릅니다. 특히 미등록 특허나 출원 예정 상태의 기술을 '특허받은 기술'로 홍보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실무 포인트

   - '특허출원중'은 출원번호 확보 이후에만 사용 가능

   - '특허받은' 표시는 등록 완료 후에만 사용 가능

   - 특허 기술이 실제 제품에 적용되어 있어야

   - 해외 특허의 경우, 각 국가별 등록 상태 구분 필요

[사례]

D 브랜드는 '특허받은 제형 기술'이라는 문구를 사용했으나, 해당 특허는 실제 제품에 완전히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시정명령과 과징금이 부과되었습니다.

5️⃣ 특허는 '등록 여부'보다 '청구항 설계'가 중요합니다

특허 전략의 목표는 단순 등록이 아니라, 자사 제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경쟁사가 회피하기 어려운 권리 범위의 확보입니다. 화장품 조성물 특허는 단순 성분 나열만으로는 권리범위가 제한적입니다.

특허의 가치는 등록증 자체가 아니라 '청구항(Claims)'에 있습니다. 청구항은 특허가 보호하는 권리의 경계를 정의하는 것으로, 너무 좁으면 쉽게 회피당하고, 너무 넓으면 등록이 어렵습니다.

 

✔ 실무 포인트

   - 특정 조성 비율, 제조 방법, 피부 적용 효과 등 기술적 특징 포함

   - 정량적 데이터로 효과 입증하여 청구항에 반영

   - 다양한 실시 형태를 커버하는 종속항 구성

   - 경쟁사 회피 가능성 분석을 통한 청구항 범위 최적화

[사례]

E 기업은 피부 장벽 강화 조성물 특허가 단순 성분 나열 수준이어서 경쟁사의 회피가 쉬웠습니다. 이후 제형 안정성과 특정 pH 범위 효능 데이터를 추가한 청구항으로 재출원해 강력한 보호를 확보했습니다.

 

 

◎ 결론: 화장품 특허, 전략적 접근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화장품 특허는 단순 출원을 넘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 시장에서는 특허 포트폴리오가 중요한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화장품 개발에서도 R&D 단계부터 IP 전략을 함께 고려하는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화장품 특허 성공을 위한 5가지 핵심 체크리스트

 

선행기술조사 – 차별화 포인트 확인과 특허 가능성 검토

인체적용시험 기반 용도특허 – 기능성 데이터의 전략적 활용

OEM/ODM 특허 귀속 명확화 – 계약을 통한 권리 확보

마케팅 활용 시 특허문구의 법적 기준 확인 – 표시광고법 준수

청구항의 전략적 설계 – 실질적 보호 범위 확보

특허는 법적 보호수단이자 브랜드 가치와 기업 평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개발 초기부터 특허 전략을 함께 고려한다면, 더 강력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블로그] 출시 전에 꼭 확인! 화장품 특허 출원의 핵심 체크리스트 5가지|명진특허법률사무소